티스토리 뷰
은행 상품을 고를 때 “이자율이 높다”는 말만 믿고 가입했다가예상보다 적은 이자를 받고 실망한 경험, 누구나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.그 이유는 바로 이자 계산 방식의 차이, 즉 ‘복리’와 ‘단리’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.
이 글에서는 복리와 단리의 개념, 차이, 실제 계산 예시, 그리고상품 선택 시 유의사항까지 실용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.
복리 vs 단리, 개념부터 다르다
**단리(Simple Interest)**는 원금에만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.**복리(Compound Interest)**는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구조로, 시간이 지날수록 수익이 커집니다.
구분 | 단리 | 복리 |
기준 | 원금에만 이자 부과 | 원금 + 이자에 재이자 부과 |
계산 방식 | 단순, 일정 | 누적, 복잡 |
특징 | 단기 유리 | 장기 유리 |
예시 | 매년 같은 금액 이자 |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 증가 |
이자 계산 방식 비교 예시
조건: 원금 1,000만 원 / 연이율 5% / 5년 투자
방식 | 1년 후 | 3년 후 | 5년 후 |
단리 | 1,050만 원 | 1,150만 원 | 1,250만 원 |
복리 | 1,050만 원 | 약 1,157만 원 | 약 1,276만 원 |
📌 차이 요약:5년 뒤 기준으로 복리의 수익이 약 26만 원 더 많음.기간이 길어질수록 복리 효과는 눈에 띄게 커짐.
어떤 상품에 적용되나요?
상품 적용 | 이자 방식 |
정기예금 | 일반적으로 단리 |
적금 | 단리 or 복리 (은행별 상이) |
CMA / 파킹통장 | 대부분 복리 |
일부 저축은행 상품 | 월복리 등 적용 |
💡 예금 가입 전 확인할 것:은행 상품설명서에 ‘이자 지급 방식’, ‘복리 적용 여부’가 명시돼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.
복리가 유리한 조건은?
복리라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. 아래 조건에 부합할수록 복리가 더 유리해집니다.
복리에 유리한 경우
- 투자/저축 기간이 길수록
- 이자 지급 주기가 짧을수록 (예: 월복리 > 연복리)
- 중도해지 없이 만기 유지 가능할 때
- 비과세 혜택 상품일 때 (이자에 대한 세금도 재투자되므로 효과 증대)
단리가 더 나은 경우도 있다?
- 단기 상품 가입 시 (3개월, 6개월 등)
- 중간에 해지 가능성이 높을 경우
- 세금우대 상품이 아닌 일반 예금 상품
- 예금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할 때 (일부 복리형 상품은 보호 제외 대상일 수도 있음)
복리 계산 공식 (참고용)
복리 이자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복사 편집 복리 = 원금 × (1 + 이율/횟수)^(횟수 × 기간)
예시:
- 원금: 1,000만 원
- 연이율: 5%
- 복리 계산 주기: 연 1회
- 기간: 5년
→ 1,000만 × (1 + 0.05)^5 = 약 1,276만 원
✅ 요약 리스트 – 가입 전 체크포인트
- 상품이 복리인지 단리인지 확인
- 이자 지급 주기(월, 분기, 연) 확인
- 복리 상품은 장기로 갈수록 유리
- 단기 목적이라면 단리도 괜찮음
- 예금자 보호 대상 여부 확인
✅ FAQ (5개)
Q1. 무조건 복리 상품이 유리한가요?
A. 장기 투자일 경우엔 복리가 유리하지만, 단기 상품에서는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습니다.
Q2. 복리 상품은 왜 은행에서 잘 없나요?
A. 복리는 은행 입장에서 이자 지급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제한적으로만 운영됩니다.
Q3. 단리 상품인데도 이자 계산이 생각보다 적은데 왜 그런가요?
A. 이자 지급 시점, 세금, 일수 계산 방식 등에 따라 실제 수령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Q4. 복리 상품의 ‘월복리’는 뭐가 다른가요?
A. 매월 이자를 붙이는 구조로, 연 1회보다 이자가 더 누적됩니다.
Q5. 세금은 복리에도 부과되나요?
A. 네, 이자 수익에는 동일하게 세금이 부과됩니다. 단, 비과세 상품은 제외됩니다.
✅ 마무리 안내
복리와 단리의 차이는 단순한 이자 계산의 문제가 아니라,저축 전략 전체를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가입 전 이자 구조만 제대로 이해해도 더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.
'free boar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예금자 보호법이 적용되지 않는 상품은? – 내 돈이 안전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(1) | 2025.05.11 |
---|---|
적금 중도해지시 손해보는 구조 분석 – 왜 원금만 돌려받을까? (0) | 2025.05.11 |
예금자 보호법 완벽 가이드 – 5,000만 원까지 안전하게 지키는 법 (1) | 2025.03.01 |
장병내일준비적금 완벽 가이드 (+ 가입 대상 조건 방법 혜택) (0) | 2025.02.02 |
청년 도약계좌 핵심 가이드 (+ 가입부터 해지까지 절차와 대안) (0) | 2024.12.01 |